문제
시간 제한 : 2초, 메모리 제한 : 256 MB
언제나 최고만을 지향하는 굴지의 대기업 진영 주식회사가 신규 사원 채용을 실시한다. 인재 선발 시험은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접시험으로 이루어진다. 최고만을 지향한다는 기업의 이념에 따라 그들은 최고의 인재들만을 사원으로 선발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진영 주식회사는, 다른 모든 지원자와 비교했을 때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시험 성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지원자보다 떨어지지 않는 자만 선발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즉, 어떤 지원자 A의 성적이 다른 어떤 지원자 B의 성적에 비해 서류 심사 결과와 면접 성적이 모두 떨어진다면 A는 결코 선발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진영 주식회사가 이번 신규 사원 채용에서 선발할 수 있는 신입사원의 최대 인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1 ≤ T ≤ 20)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 지원자의 숫자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 줄에는 각각의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적, 면접 성적의 순위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한 줄에 주어진다. 두 성적 순위는 모두 1위부터 N위까지 동석차 없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진영 주식회사가 선발할 수 있는 신입사원의 최대 인원수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입출력 예
제출 코드
import sys
t = int(input())
for _ in range(t):
n = int(input()) # 1 <= n <= 100,000
lst = sorted([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x in range(n)],
key = lambda x: x[0])
cnt = 1
min = lst[0][1]
for i in range(1, n):
if lst[i][1] < min:
min = lst[i][1]
cnt += 1
print(cnt)
문제의 핵심
# 1
입력받은 서류심사 성적과 면접시험 성적을 각 리스트로 할당한 후 서류심사 성적을 기준으로 먼저 정렬한다. 서류심사 성적이 더 높은 경우 면접시험 성적은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 2
특정 지원자 i가 선발되려면 자신보다 더 좋은 서류심사 성적을 가진 사람들보다 면접시험 성적이 좋아야 한다. 서류심사 성적이 더 좋은 순으로 지원자를 정렬했기 때문에 순회를 할 때 이미 지나왔던 지원자는 자신보다 서류심사 성적이 더 좋다. 하지만 지나왔던 지원자들 각각의 면접시험 성적과 특정 지원자 i의 면접시험 성적을 모두 비교한다고 하면 (심지어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cut-off를 한다고 하여도)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변수 min을 사용하는데, 여태 지나왔던 지원자들의 면접시험 성적 중 가장 좋은 면접시험 성적을 저장한다. 그렇게 되면 특정 지원자 i의 면접시험 성적과 min만 비교하여 특정 지원자 i가 선발될지 파악할 수 있다.
라인별 풀이
(1) line 7
지원자의 숫자가 최대 10만 명이므로 input보다는 모듈 sys를 이용하여 각 지원자의 성적을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각 성적들은 리스트의 형태로 저장되어 lst = [ [지원자 1의 서류심사 성적, 지원자 1의 면접시험 성적],... , [지원자 n의 서류심사 성적, 지원자 n의 면접시험 성적] 이 된다.
이후 각 지원자의 서류심사 성적을 기준으로 성적을 담은 리스트들을 오름차순 정렬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성적이 '순위'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내림차순이 아닌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 한다는 것이다.
(2) line 9
cnt는 신입사원으로 선발될 수 있는 지원자를 세기 위한 변수로, lst의 0번째 원소에 위치한 지원자는 서류심사 성적이 1등이므로 다른 것을 고려할 필요없이 바로 합격자로 넣어준다.
(3) line 10
여태까지 지나왔던 지원자들의 면접시험 성적 중 가장 좋은 성적을 저장하는변수 min에 첫 번째 지원자의 면접시험 성적을 할당해준다.
(4) line 12 ~ 15
첫 번째 지원자를 제외한 모든 지원자를 순회하며 면접시험 성적을 min과 비교한다. 문제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듯이 이미 순회하며 지나왔던 지원자들의 면접시험 성적 중 가장 좋은 성적을 min에 담아놨기 때문에, i번째 지원자의 면접시험 성적은 min보다만 크면 신입사원으로 선발될 수 있다.
실패 기록
import sys
t = int(input())
for i in range(t):
n = int(input()) # 1 <= n <= 100,000
lst = sorted([list(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i in range(n)],
key = lambda x: x[0])
print(lst)
cnt = 1
for i in range(1, n):
for j in range(0, i):
if lst[i][1] > lst[j][1]:
break
else:
cnt += 1
print(cnt)
시간 초과로 실패했던 코드다. 문제는 line 12 ~ 16이다. 아무리 순환을 줄이기 위해 중간에 break를 걸어놨다지만, 결국엔 이중 for문이라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Source : https://www.acmicpc.net/problem/1946
'P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알고리즘][파이썬/Python] 1094번: 막대기 (0) | 2020.04.13 |
---|---|
[백준 알고리즘][파이썬/Python] 2293번: 동전 1 (4) | 2020.04.09 |
[백준 알고리즘][파이썬/Python] 1541번: 잃어버린 괄호 (0) | 2020.04.07 |
[백준 알고리즘][파이썬/Python] 10989번: 수 정렬하기 3 (0) | 2020.04.06 |
[백준 알고리즘][파이썬/Python] 1002번: 터렛 (0) | 2020.04.05 |